xe 마이그레이션 시 첨부파일을 base64 인코딩하여 마이그레이션을 한다. 과연 어떤과정을 거칠까 궁금하나 하나씩 뜯어보기로 했다. importer.admin.controller.php 파일의 importAttaches 파일은 xe로 import 하는 부분이다. 과연 어떻게 하나 살펴보자. /** * Import attachment * @param resource $fp * @param int $module_srl * @param int $upload_target_srl * @param array $files * @return int */ function importAttaches($fp, $module_srl, $upload_target_srl, &$files) { $uploaded_count = 0..
페이지가 작동하지 않습니다.현재 localhost에서 요청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HTTP ERROR 500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위에처럼 (크롬) http error 500 를 만날때가 있다. 코드값을 다 외우고 있지 못하니 뭔가.. 당황스러울 것이다. http error 500은 내부 서버 오류 메시지 입니다.웹 사이트에 프로그래밍 오류가 있습니다. 말그대로 내부서버 즉, 본인이 직접 코딩했던 소스에 문제가 있는것입니다. 그래서 이상하다.. 내가 짠 코드는 이상없는데... 컴퓨터가 이상한거 아니야... 하던 찰나에.. } 가 더 들어가 있었다.. ㅜㅜ 소스를 copy & paste 삭제등을 하다가 for문의 } 을 덜 지웠다. ㅜㅜ php 코딩하다 이런에러를 발견했는데 컴파일을 하는 자바 같았으면 에러 ..
DB는 유저(사용자) 기반이다.그냥 개인적으로 오라클 설치해서 쓸때는 유저(사용자) 하나 만들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테이블을 만들든 함수를 만들든 시퀀스를 만들든 해당유저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냥 사용하면 되었었다. 그러나.. 하나의 DB를 여러명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진다. 즉, 유저가 여러명인 것이다. 그래서 하나의 유저에서 테이블도 만들고 함수, 시퀀스를 만들었다면 다른 유저가 사용하려면 사용할 수 없고 권한을 받아야 한다. 이렇게 되면 함수 뿐만 아니라 테이블 생성등도 마찬가지로 생성도 하고 권한도 새로 받은 유저에다가 따로 줘야 한다.. 항상 혼자 DB만들고 사용해서 이렇게 권한을 일일히 주는것이 조금 적응이 안된다. 그냥 생성하고 바로 쓰기만 해서리.. 그래서 권한을 주는 쿼리를 만들어..
- Total
- Today
- Yesterday
- XE3
- 플러터
- Python
- C
- ocajp
- php
- esql
- webix
- xe addon
- xe애드온
- MySQL
- JDBC
- 라이믹스
- 이클립스
- EC
- C언어
- 인포믹스
- 파이썬
- 포인터
- 프로씨
- XE
- 파싱
- 오라클
- 자바 smtp
- 문자열
- KG
- 스크래핑
- proc
- 자바
- ocjap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