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 activeMQ 를 쓰다보면 org.apache.camel.component.direct.DirectConsumerNotAvailableException: No consumers available on endpoint: Endpoint[direct://]. Exchange[Message: [Body is null]] 이런 에러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말그대로 엔드포인트에서 사용가능한 소비자가 없다는 것이다. 소비를 하려고하는 없다는거지.. 소비라는 말이 나와서 돈을 써야 하나.. 라고 생각할텐데.. message queue에서는 소비라는 말을 쓴다. 한마디로 Null Pointer 처럼 참조해서 쓰려고 하는데 대상이 없다는 것이다. 그럼 대상을 만들어 주면 되겠네? 분명히 파일을 덮어씌운거 같..
[JEUS] JSP 반영안될때 제우스 서버에 jsp를 반영하는데 변경부분이 반영이 안될 때가 있다. 이럴때 살펴봐야할 설정이 WEBMain.xml 인데 이 설정은 jeus/config/[server명]/[container 명]/ 아래의 경로에 있다. 여기서 설정해 주는것이 url-encoding 과 jsp 컴파일 관련 설정인데 이 설정을 해주지 않으면 jeus에서 컴파일 되었던 쿠키정보를 활용해서 페이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변경부분이 반영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web-container 설정 하위로 아래의 설정을 추가하면 되는데 true true 주로 컴파일 변경이 반영되지 않는 파일들은 처럼 파일에서 다른 파일들을 인클루드 해서 사용하는 파일들이 컴파일 누락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자바 mybatis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type interface is not known to the mapperregistry 이런 에러를 만날 수 있다. 분명 제대로 했는데.. 이상하다.. 라고 보통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거짓말을 못한다. 분명 잘못한게 있는것이다. 그런데 그런게 잘 안보인다. 대게 mapper.xml 에서 mapper namespace를 잘못 작성해서 그런거다는 stackoverflow 같은데서 많이 나온다. 그런데 그것도 제대로 작성했는데요 위와 같은 에러가 났다. 나 같은 경우는 마이바티스 설정 파일인 mybatisConfig.xml에 작성하는 방식으로 의 하위 엘리먼트 의 resource 속성으로 매퍼 파일의 경로를 지정해주며, 매퍼 파일이 늘어날 때마다 추가해줬..
Cause: org.apache.ibatis.builder.BuilderException: Error parsing Mapper XML. Cause: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Parameter Maps collection already contains value for 항상 소스를 복사 붙여넣기 하면 이런 에러를 접하게 된다. mybatis는 이름으로 하는게 아니고 소스내에

이클립스에 javadoc 설치하는것을 할때마다 까먹어서 정리해 본다. 1. 오라클 홈페이지에서 자바 doc을 다운로드 받는다.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javase-downloads.html Java SE - Downloads | Oracle Technology Network | Oracle Java API Documentation Updater Tool 1.3 Java API Documentation Updater Tool repairs-in-place Java API Documentation created with javadoc versions included with JDK 5u45, 6u45, 7u21 and earlier. See the 7u25 ..
요새는 자바 개발할때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많이 사용해서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api 이용하면 쉽게 보낼 수 있다. 기존방식으로 하면.. 자바 smtp로 구글링 하면 대부분이 Session session = Session.getDefaultInstance(prop, new javax.mail.Authenticator() { protected PasswordAuthentication getPasswordAuthentication() { return new PasswordAuthentication(user, password); } }); 이런식으로 많이 되어 있다. 하지만.. 컴파일시 이너클래스에 의해 $1.class가 본인도 모르게 만들어 진다. 이게 큰문제를 일으킨다.. 리눅스 서버 에서는 $가 예약어 이다..
자바 개발을 하다보면 inner class로 자신도 모르게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Override ... 이럴경우 $1.class 가 나도 모르게 생겨서 리눅스에서 문제가 생긴다. 리눅스에서는 $가 예약어 인것 같다. 그래서 파일을 삭제하려고 rm aa$1.class 를 날리면 멀쩡히 잘 쓰고 있는 삭제 되서는 안될 aa.class가 삭제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난다. 그러면 서버가 안올라가는 정말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그래서 특수문자 이스케이프 escape 하는 \를 특수문자 앞에써서 rm aa\$1.class 처럼 해줘야 한다. 그래서 웬만하면 이너클래스 형태는 (@Override 가 자동으로 생기는거) 안쓰는게 좋을것 같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JDBC
- proc
- 스크래핑
- 이클립스
- php
- esql
- EC
- 파싱
- xe addon
- 플러터
- xe애드온
- MySQL
- ocajp
- 포인터
- C
- XE
- 프로씨
- ocjap
- 자바
- Python
- KG
- 자바 smtp
- 파이썬
- webix
- 문자열
- C언어
- 라이믹스
- XE3
- 오라클
- 인포믹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