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보면 매뉴얼 같은것을 작성하려다 보면 포토샵이나 파워포인트에서 동그란 원문자를 입력할 일이 생긴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포토샵이나 파워포인트의 기능을 쓰는것은 아니고 윈도우 기능을 쓰느것이다. 포토샵에서는 단축키 t를 눌러도 되고 좌측에 T 수평문자도구를 선택하고 화면에 클릭 후 ㅇ (한글) 입력 후 윈도우 화면 우측하단에 한 이라고 한자변환을 클릭한다. 그럼 팝업으로 원문자가 나와서 선택하면 된다. 파워포인트도 마찬가지 방법^^ 텍스트상자를 선택하고 ㅇ (한글로 이응)을 입력 후 한자변환을 클릭한다. 마찬가지로 원문자들이 나와서 선택하면 된다^^
자바 개발자들은 문자열 다룰때 그냥 + 연산자 쓰면 문자열끼리 붙었고 문자열 쓰기도 쉬웠다. 그러나 c언어는 자바나 php등의 언어에 비해 문자열 다루기가 다소 까다롭다. 그 이유는 문자열은 배열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열에 필요한 작업은 배열요소를 일일히 참조해야 한다. 자바 개발자들은 짜증이 나겠지만 그래도 어떻겠나. c언어 하려면 적응해야지.. 우선 c언어에 "apple" 이라고 있으면 문자열 맨 끝에 널문자('\0')가 같이 저장되어 있는다. 즉, 'a' 'p' 'p' 'l' 'e' '\0' 이런식으로 메모리 어디엔가 저장되어 있다. 그래서 char app[5]="apple"; //배열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가능하다. char app[5]; app="apple"; 이거는 안된다. 배열명 app..
typedef struct{ char a[8]; char b[8]; char c[8]; }A_H; void test2(A_H *a); void test(A_H *a){ printf("a at test=[%s]\n",a); test2(a); //이미 a는 포인터 변수이기 때문에 함수 호출시 파라미터로 그냥 써준다. } void test2(A_H *a){ printf("a at test2=[%s]\n",a); } int main(int argc, char* argv[]){ A_H a_h; memset(&a_h,0x00,sizeof(A_H)); memcpy(a_h.a, "abcdabcd",8); memcpy(a_h.b,"1234567",7); printf("a_h=[%s]\n",&a_h); test(&a_h)..
- Total
- Today
- Yesterday
- proc
- 포인터
- 파이썬
- xe addon
- 자바
- esql
- 라이믹스
- 문자열
- 자바 smtp
- C
- ocajp
- 스크래핑
- 이클립스
- xe애드온
- C언어
- Python
- KG
- EC
- php
- XE
- XE3
- 오라클
- 프로씨
- MySQL
- 인포믹스
- 플러터
- webix
- ocjap
- 파싱
- JDBC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